조회 수 9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1055357_456624261172981_8060637905495580077_o.jpg


[홍슐랭가이드 - 다시올 치킨]


이 더운 날 뭘 먹어야 더위를 좀 가실까. 다들 찬 음식을 찾겠지만 더위엔 이열치열인 법. 오늘은 더운 날 더 후덥지근하게 속을 확 채워줄 보양식을 좀 가져와봤다.?여러분이 사진을 보기만 해도 더움을 느끼길!


오늘 소개할 이 곳은 인근 대학교 학생들에게는 맛집으로 소문나 점심 시간이면 꽤 줄을 서는 곳이다. (특히 비오는 날, 갑자기 쌀쌀한 날 손님이 참 많다.) 간판에는 치킨이라고 쓰여있지만 이 집에서 가장 잘 팔리는 메뉴는 치킨보다 닭칼국수다. 간혹 닭계장을 시키는 분들도 있으나 닭칼국수의 주문율이 압도적이다.


11230970_456624227839651_8634392540200764999_n.jpg


뽀얀 국물에 양념장 툭툭 털어넣어 휘휘 저으면 깍두기 국물을 살짝 넣은 것 같은 곰국 빛깔의 국물이 완성된다. 조금 더 칼칼한 맛을 원하면 후추를 살짝 넣어도 되지만 이미 간이 약간 센 상태에서 나오기 때문에 넣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최근에는 얼큰 닭칼국수가 생겼으니 정 매운 맛을 원하면 얼큰 버전을 주문할 것. 하지만 어디나 그렇듯 베스트는 오리지널)?김이 모락모락 나는 국물을, 국수 흡입 전 들이키면 시원함과 뜨거움이 목 안에서 춤을 춘다. 해장으로 접했다면 속은 한 번에 다 뚫리는 기분이랄까. 국물이 정말 진한데다가 청양고추가 들어가 있는데 그 조화가 매우 아름답다.?


국물로 입맛을 돋군 뒤, 면발을 흡입하면 만족감, 행복함은 배가 된다. 아삭한 배추김치, 깍두기 한 점 올려 한 입 싸악 넘기면 하 (생각만 하는 지금도 군침이 돈다.) 한 입씩 찬찬히 먹어도, 짜장면 먹듯 빨아 들여도 면발은 남아 있다. 그만큼 양이 많다. 왠만한 여성분들 중에 완벽하게 국물까지 클리어하는 경우를 많이 보지 못했다. (물론 저는 갈 때마다 클리어를 했지만 하하)양 많은 남성분들이 오더라도 만족스럽게 한 끼하고 갈 수 있을 정도다. 여기에 추가로 국물에 밥도 말아먹으라고 밥을 소량 주신다. 이 모든 걸 다 먹고 나면 배 퉁퉁 치며 걸어나오기엔 충분하다.


학교 근처여서일까. 이렇게 푸짐한 양과 감칠맛 나는 맛을 보여주는데도 한 그릇당 가격은 5000원이다. 처음 이 곳을 갔을 때도 나오는 양을 보고 5000원이 맞냐며 재차 물었는데, 어연 몇 년이 지난 지금도 가격 변동없이 쭈욱 5천원이다.


최근에는 장사가 잘 되어서 매장이 리모델링되고 확장되었다. 이전에는 한 층으로만 운영되어 모르는 사람들과 부대끼며 먹고, 단체는 엄두도 못 냈었다. 그렇지만 지금은 단체로 올 경우 지하 매장으로 안내해 주신다고 하니 친구들 여럿 모여 가보시길.


이 집에서 글쓴이가 자주 시켜먹는 메뉴가 닭칼국수여서 그렇지, 이 집은 어엿한 치킨집이다. 기타 치킨 메뉴들도 가성비 짱짱하니 함께 시도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가격?
닭칼국수 5000원?
후라이드 大 13000원 / 양념 大 14000원
순살 후라이드 11000원 / 양념 12000원?
(기타 메뉴판 사진 참고)

11109020_456624251172982_9046764033193664857_n.jpg


위치

한양대 뒷편 사근동 주택가, 한양여대 후문 도보 5분
초행인 분이 찾아가기는 꽤 어려운 위치에 있다. 성동제일 새마을금고 본점을 네xx지도에서 검색하신 뒤, 그 건물 지나 바로 나오는 골목 안쪽으로 쭉 직진하다 보면 바로 보인다!
* 성동제일 새마을금고 본점: 서울특별시 성동구 사근동길 54-1
(지하철 역으로는 용답역 2번출구에서가 가장 가까움)

10413386_456624277839646_4714324305332834136_n.jpg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두괴즐의 빠돌이즘, 서태지 편: 5화 환상과 현실 <환상 속의 그대> file 두괴즐 2013.07.08 3901
한국 인디, 포크 가수는 많은데 포크의 다양한 모습은 없다. file GT 2013.07.10 4749
[까만자전거] 록 음악의 흐름을 바꾼 비틀즈의 음반 한장 7 file 2013.07.11 19056
[채널168 소품집] 아직 스무살 file 호솜 2013.07.12 2971
[Floyd의 음악이야기] 언더그라운드 뮤직 연재 - 1990년대 언더 = 인디 file 헤워 2013.07.12 2625
[EERIE 의 악마의 로큰롤] 악마적 경험의 다양성 - Black Sabbath의 악마주의와 Burzum의 악마주의 file 호솜 2013.07.14 3022
두괴즐의 빠돌이즘, 서태지 편: 6화 폭로와 냉소 <대경성> file 두괴즐 2013.08.05 2452
[까만자전거] 비틀즈의 부활로 의심받았던 캐나다의 클라투 7 file 2013.08.06 6248
[Floyd의 음악이야기] 언더그라운드 뮤직 연재 - 2 언더그라운드 문화와 인디(Indie) file 헤워 2013.08.08 3326
[채널168 소품집] file 호솜 2013.08.10 3004
[EERIE의 악마의 로큰롤] 뛰는 악마 위에 나는 악마 file 내이름은김창식 2013.08.10 2359
[눈시칼럼] 재평가라는 이름의 역사왜곡 file 호솜 2013.08.11 2734
[대중문화의 들] 끈적한 원초적 로큰롤을 부르는 오! 부라더스 file 호솜 2013.08.12 3178
[Floyd의 음악이야기] 언더그라운드 뮤직 연재-3 클럽 문화와 인디 file 헤워 2013.09.10 4207
[한 귀에 반한] 1화: Daft Punk - Get Lucky (Feat. Pharrell Williams) 59 file 두괴즐 2013.09.13 16614
[눈시 칼럼] 정기룡 file 호솜 2013.09.14 3377
[대중문화의 들] 장필순 7집, 장필순 드림팀이 만드는 압도적인 감동 53 file 헤워 2013.09.15 11916
[EERIE의 악마의 로큰롤] 서쪽은 어디인가 - Pet Shop Boys의 <Go West> file 내이름은김창식 2013.09.15 4384
[까만 자전거] 아침 이슬은 왜 금지곡이 되었나? file 내이름은김창식 2013.09.15 5136
[한 귀에 반한] 2화: 패닉, <추방> file 두괴즐 2013.10.13 367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 7 Next
/ 7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