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악마.jpg


서쪽은 어디인가

-Pet Shop Boys <Go West>

 



올해 <라이프 오브 파이>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거머쥔 대만 출신 리안 감독에 대한 중국 본토의 감정에 대해 중국인 친구에게 물어본 적이 있다.

싫어하는 사람들이 꽤 있지. 정부도 그렇고 대부분의 중국인들도 그렇고 아직은 내부의 문제점을 인정하기 싫어하니까. 중국 내부에 대해 안 좋은 말 하는 건 일단 막고 싶어해.”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답변 뒤에 그 친구는 뜻밖의 말을 남겼다.

하지만 그런 사람들 중에서도 <브로크백마운틴> 좋아하는 사람은 많아.”

어째서?”

중국 얘기가 아니잖아. 미국 애들 게이짓하는 얘기라고 좋아해.”

“……”

예상치 못한 충격적인 영화 독법. 그러나 생각해보면 그런 창의적인(?) 해석과 맞닥뜨리는 것이 그다지 드문 일도 아니다.우리는 은연중에 나의 상식이 곧 다른 사람의 상식이고 나의 프레임으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고 착각하곤 하지만, 세상의 이해관계는 종종 정말 충격적일 정도로 다양하다. 상반된 이미지의 상징물들을 결합해 신선한 재해석의 세계를 보여주는 펫샵보이즈의<Go West>뮤직비디오는 그런 복잡한 이해관계의 한복판에서 기발하고 다양한 독법을 난무하게 만들었던 비디오 중 하나이다.

<Go West>는 형식, 메시지, 상징 등 다방면에서 기발한 콜라주를 보여주는 비디오다. 이 비디오에 등장하는 시각적 요소들은 크게 미국의 상징소련의 상징이라는 양대 축으로 나뉘어 있다. 소련의 상징으로 붉은 색 별, 러시아 군대를 연상시키는 건장한 남성 부대, 레닌 부조상 등이 등장한다면미국의 상징으로는 자유의 여신상, 마천루가 가득한 도시 풍경, 바다 및 서핑족의 이미지가 등장한다. 그런데 이 상징들은 각자 별개로 나열되지 않고 서로가 서로를 재해석하듯 얽혀 있다. 뉴욕을 연상시키는 마천루의 도시에는 붉은 별이 박혀 있고, 추운 나라 러시아 군대는 미국 캘리포니아 서핑족처럼 몸에 착 달라붙는 민소매 옷으로 섹시미(?!)를 드러낸다. 흑인 여성이 연기하는 자유의 여신은 붉은 옷을 입고 소울풀한 보컬을 뽐내며, 레닌의 부조상은 서쪽으로 가라는 노래의 후렴구에 맞춰 서쪽을 가리키는 것으로 연출된다. 이렇게 결합된 상징들은 디스코 팝의 원색적인 아이템과 어우러져, 실사와 3D 모델링의 결합으로 표현된다.

90년대에 만들어진 이 비디오의 3D 모델링은 기술적인 면에서 보면 너무 단조롭고 어색하기까지 하다. 그러나저질(?) 3D로 인해 티가 팍팍 나는 가상 세계속에서 서로 뒤섞여 버린 미국과 소련의 상징물은 노래의 메시지를 놀라운 수준으로 시각화한다. 이 비디오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세계를 보고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전달한다. 이 뮤직비디오에 등장하는 세계는 일종의 평행우주다. 볼셰비키의 혁명 정서를 게이 디스코의 필터로 거르고, 미국식 자유에 붉은 옷을 덧입힘으로써, 현실 세계에서 더럽혀진 자유평등을 비디오 속의 가상 세계에서만큼은 본래의 이상적 지위에 되돌려 놓는다. 게이 유토피아에 대한 선망을 담은 노래 <Go West>는 본래 빌리지 피플이 불렀을 때는 순도 100%에 가까운 경쾌함을 자랑했지만, 펫샵보이즈는 이것을 좀 더 서글픈 노래로 바꾸었다. 뮤직비디오가 보여주는 가상 세계는 아기자기함과 동시에 서늘함을 안겨주고, 이는 펫샵보이즈의 음악과 훌륭한 시너지를 이룬다. 닐테넌트는 이 비디오를 만들게 된 배경에 대해 “MTV Russia가 개국할 때 행사 차 러시아에 갔다가 우연히 기획하게 된 것이라고 무심히 말했지만, 레닌의 부조상이 서쪽을 가리키는 장면을 두고 당신이 동방에 있다면 반대쪽으로 가 보고 싶은 생각이 당연히 들지 않겠나. 그런 의미다.”고 말함으로써 여러 상징물의 결합에 장난 이상의 의미가 있음을 암시했다.

그런데 그 상징들에 걸린 이해 관계가 어찌나 복잡했던지, 이 뮤직비디오에 대해서는 유독 서로 정반대의 해석이 난무한다. ‘사회주의 유토피아에 대한 꿈을 천명한 것이라고 말하는 이가 있는가 하면, ‘디스코 복장으로 모스크바를 누비며 감히 레닌과 러시아 군대를 서방의 관점으로 모독했다고 분개하는 이도 있다. 같은 러시아인 중에서도 이것을 서방 세계와 같은 개방/자유를 허하라는 메시지로 보고 지지/반대를 하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서방으로 진격해 세계를 정복하라는 의미로 읽고 지지/반대하는 이들도 있다. 소련의 지배를 받았던 동유럽인들 중에서는이 노래가 (상대적으로 소련에 비해 서방 쪽에 있는) 자신들을 다시 지배하라는 뜻으로 보인다며꺼리는 경우도 있다.이 노래를 둘러싼 복잡한 해석의 충돌은 펫샵보이즈 본인들도 세계 각지에서 날아온 팬레터를 통해 알고 있는 사실이다.

누군가의 눈에는 황당무계하게 보일 해석이라도, 그 당사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석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늘 그렇듯 해석이라는 것은 대상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드러내는 작업이라기보다는 해석하는 자의 세계관을 표출하는 것에 가깝다. <Go West> 비디오처럼여러 상징물이 얽힌 작품일 경우엔 더더욱 그렇다. 이 비디오에 대한 해석에는 개인의 역사관 및 경험,구 소련에 대한 가치 평가, 팝 문화, 게이, 디스코 문화에 대한 가치 평가에 이르기까지 해석하는 이의 여러 가치관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이제 이 비디오를 볼 때면 최근 반동성애법을 발효한 러시아의 상황을 떠올리지 않기가 힘들다. 현재의 관점으로 과거의 작품을 해석하는 것은 원칙적으로는 왜곡의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 우리가 살아내고 있는 상황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한 감상이라는 것도 존재하기 어렵다. 러시아는 스탈린 지배 하의 소련 시절부터 러시아 정교회 네트워크와 야합해 동성애자들을 탄압해 왔다. 러시아는 볼셰비키 혁명 직후 레닌 치하에서 15년 간, 개방 정책을 폈던 옐친 정권 시절 잠깐을 제외하고는 동성애자들을 지속적으로 법적 탄압의 대상으로 삼았다. 현실 사회주의의 일당 독재 체제에 민족주의, 국가주의적 단결 의식이 결합한 결과는 무시무시했다. 러시아인들은 스탈린에 이어 푸틴이 그대로 이용하고 있는 교회 네트워크의 권력에도 굉장한 충성심을 보여주고 있다. 웃기는 것은 러시아인들이 공산 혁명을 겪은 나라의 인민들답게 신앙심은 별로 깊지도 않으면서 교회에 대한 충성도만 강하다는 점이다.*러시아의 LGBT 인권 역사에서 특이한 점은 앞으로 가는 듯하다가 다시 후퇴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는 것, 그리고 믿지도 않는 종교의 현실적 권력을 긍정하며 동성애 압박을 용인하는 이들이 많다는 것이다. 혁명부터 개방까지, 초강대국의 지위부터 끔찍한 가난까지 안 겪어본 것이 없는 국가여서일까. 세상에 대한 어떤 환상도 남아 있지 않은 그들은 종교와 이념을 불관용/증오에 대한 포장 도구로 쓰는 것에 아무 거리낌이 없는 나머지 이를 숨길 생각조차 없는 것 같다. 보통 LGBT 인권의 주적으로 지목되는 것은 종교지만, 종교 자체가 인간이 창조한 문화의 일부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결국 문제는 인간으로 되돌아온다. 러시아의 상황은 이를 잘 보여준다.

<Go West> 비디오에서 러시아 섹시 군대 용사들은 자유의 여신상이 양쪽으로 세워진 긴 계단을 힘차게 오른다. 펫샵보이즈가 얼마 전 사운드트랙을 새로 만들기도 했던 <전함 포템킨>의 혁명 장면을 LGBT 버전으로 재창조한 듯한 이 계단 장면의 배경은 구름 가득한 하늘나라다. 커밍아웃한 게이가 폭행을 당해 사망했다는 러시아의 요즘 뉴스를 보고 있으면, 예전에는 그렇게 크게 눈에 띄지 않았던 이 천국의 계단설정이 유독 심각하게 다가온다.펫샵보이즈는평화로운 인생이 기다리는서쪽으로 함께 손을 잡고 가자고 말한다. 그런데 어디가 서쪽일까.전근대적 이론의 신봉자가 아닌 한 우리는 이것이 특정 지점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지구는 둥그니까.

 

-by eerie

http://patricidaljubilee.egloos.com/

 

*참고문헌: <러시아는 왜 동성애를 혐오하나?-디 애틀랜틱>, 머니투데이, http://news.mt.co.kr/mtview.php?no=2013061317284366654


  1. 두괴즐의 빠돌이즘, 서태지 편: 5화 환상과 현실 <환상 속의 그대>

    [두괴즐의 빠돌이즘] 서태지 편: 5화 환상과 현실 <환상 속의 그대> "사람들은 그대의 머리 위로 뛰어 다니고 그대는 방 한구석에 앉아 쉽게 인생을 얘기하려 한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환상 속의 그대>는 학창 시절 저의 성찰적 계기가 되어 주었던 노래...
    Date2013.07.08 By두괴즐 Views3902
    Read More
  2. 한국 인디, 포크 가수는 많은데 포크의 다양한 모습은 없다.

    "더이상 시대의식을 공유하지 않는?한국 포크" ? ? 시끄러운 세상이다. 멀쩡한 강바닥을 파헤쳐 조져놓는 것조차 무덤덤해질만큼 먹고 살기 힘든 요즘이다. 그런데 요즘 포크 가수들은 통기타 한 대 둘러메고 풋풋한 새내기들의 사랑 노래를 하고 있다. ? ? ? ...
    Date2013.07.10 ByGT Views4751
    Read More
  3. [까만자전거] 록 음악의 흐름을 바꾼 비틀즈의 음반 한장

    [까만자전거] 록 음악의 흐름을 바꾼 비틀즈의 음반 한장 1966년 8월 5일에 사이키델릭 음악이 좀더 확장되고 다듬어져 구체화 되어 나타난 일곱번째 음반 <Revolver>를 발표한 <비틀즈>는 일주일 뒤인 8월 12일 부터 미국에서 순회 공연에 들어 갔다. 8월 29...
    Date2013.07.11 By Views19056
    Read More
  4. [채널168 소품집] 아직 스무살

    박새별 씨 신곡 중 ‘아직 스무 살’ 이라는 곡이 있다. 그 노래를 처음 들었을 때 들었던 생각은 노래가 좋다 나쁘다 가 아니라, ‘아 나만 그런 게 아니었구나.’ 스무 살에는 그런 믿음이 있었다. 내가 좀 더 먹으면, 내 마음도 그만큼 더 자라 있을 거라는 그...
    Date2013.07.12 By호솜 Views2971
    Read More
  5. [Floyd의 음악이야기] 언더그라운드 뮤직 연재 - 1990년대 언더 = 인디

    ?원문 :?http://floyd20.egloos.com/2935193 ?언더그라운드 뮤직 연재?- 1 언더그라운드의 정의는 음악적 행동 의식에 있다. ‘언더그라운드(Underground)’?뮤지션, 2013년 대한민국 땅에서 이 말이 의미있는 것일까.?이 질문을 뒤로 한 채,?본문 글을 이어 나...
    Date2013.07.12 By헤워 Views2625
    Read More
  6. [EERIE 의 악마의 로큰롤] 악마적 경험의 다양성 - Black Sabbath의 악마주의와 Burzum의 악마주의

    악마적 경험의 다양성 -Black Sabbath의 악마주의와 Burzum의 악마주의 ? -by eerie http://patricidaljubilee.egloos.com ? 서양 기독교 문화에서 악마의 존재는 시각적으로나 개념적으로나 그 이미지가 매우 선명하다. 한국 전통 문화에서 사람들을 무섭게 ...
    Date2013.07.14 By호솜 Views3022
    Read More
  7. 두괴즐의 빠돌이즘, 서태지 편: 6화 폭로와 냉소 <대경성>

    [두괴즐의 빠돌이즘] 서태지 편: 6화 폭로와 냉소 <대경성> "도대체 정직한 듯한 정책 무가책 뒤를 쳤던 네 술책 너를 문책해도 결국 중책 맡은 자만 죄다 면책 " 서태지의 음악을 통해 세계를 의심하는 법을 배웠고, 그것은 폭로와 공감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Date2013.08.05 By두괴즐 Views2454
    Read More
  8. [까만자전거] 비틀즈의 부활로 의심받았던 캐나다의 클라투

    [까만자전거] 비틀즈의 부활로 의심받았던 캐나다의 클라투 1976년에 <3:47 EST>라는 제목의 음반으로 데뷔한 캐나다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클라투>는 데뷔 음반 발표 당시에 미국의 팝 음악 전문 컬럼니스트가 자신의 기사에서 '아마도 클라투는 비틀즈(T...
    Date2013.08.06 By Views6248
    Read More
  9. [Floyd의 음악이야기] 언더그라운드 뮤직 연재 - 2 언더그라운드 문화와 인디(Indie)

    원문:?floyd20.egloos.com/2935580 ?언더그라운드 뮤직 연재 - 2 언더그라운드 문화와 인디(Indie)? 90년대 언더그라운드 음악은 저예산으로 제작되는 독립 레이블의 등장과 홍대를 중심으로 확대되어 나간 클럽 씬을 배경으로 성장해 나왔다. 당시의 독립 레...
    Date2013.08.08 By헤워 Views3326
    Read More
  10. [채널168 소품집]

    봄이 왔다. 아니 왔으면 좋겠다. 얼마 전, 예전에 좋아하던 음악들을 다시 듣다가 타루의 '봄이 왔다' 다시 들었다. '봄이 왔다~ 그녀가 왔다~' 를 계속해서 반복하는 단순한 진행. 보컬의 목소리가 좋아서 일까? 단순한 곡임에도, 무더운 여름의 뜨거운 바 ...
    Date2013.08.10 By호솜 Views3004
    Read More
  11. [EERIE의 악마의 로큰롤] 뛰는 악마 위에 나는 악마

    뛰는 악마 위에 나는 악마 Run-D.M.C의 <King of Rock> -by eerie http://patricidaljubilee.egloos.com 많은 사람들이 로큰롤에 붙는 ‘저항의 음악’이라는 수사를 상식처럼 받아들인다. 유행의 첨단을 걷는다고 자부하는 힙스터라면 이런 호랑이 담배 먹던 ...
    Date2013.08.10 By내이름은김창식 Views2359
    Read More
  12. [눈시칼럼] 재평가라는 이름의 역사왜곡

    위인의 민낯을 재조명한다는 건 참 매력적인 일이다. 어느 시대 어느 나라든 승자를 위한 왜곡은 있기 마련이고 그걸 밝혀내면서 그 때의 진실에 조금이라도 다가갈 수 있다. 그렇게 업적에 가려진 실책이나 피해자들을 찾아낼 수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그 ...
    Date2013.08.11 By호솜 Views2735
    Read More
  13. [대중문화의 들] 끈적한 원초적 로큰롤을 부르는 오! 부라더스

    스탠더드와 록이 만났던 그 시절의 끈적한 스텝 원초적 로큰롤 그리고 트위스트 그룹싸운드 오! 브라더스? 경쾌한 음악색을 가진 밴드는 홍대에 아주 많다. 오늘 저녁에도 홍대 거리에는 숱한 밴드들이 기타를 들고 빈티...
    Date2013.08.12 By호솜 Views3179
    Read More
  14. [Floyd의 음악이야기] 언더그라운드 뮤직 연재-3 클럽 문화와 인디

    ■ 1990년대 언더그라운드, 즉 인디와 클럽 문화? 1994년부터 1995년 경의 클럽 문화 초창기에는 너바나(Nirvana)의 영향력 아래 대다수 클럽 밴드들이 얼터너티브 락과 그런지 계열의 음악을 많이 구사했다. 옐로우 키친(Yellow Kitchen), 코코어(Cocore), 허...
    Date2013.09.10 By헤워 Views4208
    Read More
  15. [한 귀에 반한] 1화: Daft Punk - Get Lucky (Feat. Pharrell Williams)

    [한 귀에 반한] 1화: Daft Punk - Get Lucky (Feat. Pharrell Williams) [두괴즐의 빠돌이즘: 서태지]편을 마치고, 이제는 [한 귀에 반한]이라는 테마로 새롭게 연재를 시작합니다.? 컨셉은 제목 그대로 한 귀에 반한 곡을 소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처...
    Date2013.09.13 By두괴즐 Views16616
    Read More
  16. [눈시 칼럼] 정기룡

    눈시칼럼 - 정기룡 임진왜란 때 열심히 싸웠음에도 알려지지 않은 위인이 있다. 최근 들어 소설을 통해 재평가가 시작됐고, 인터넷에서 그의 이름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60전 60승의 불패의 명장, 육지의 이순신이라고 말이다. 하지만 이런 엄청난 ...
    Date2013.09.14 By호솜 Views3377
    Read More
  17. [대중문화의 들] 장필순 7집, 장필순 드림팀이 만드는 압도적인 감동

    장필순 7집 장필순 드림팀이 만드는 압도적인 감동 5집 '너의 외로움이 나를 부를때'가 하나음악의 포크적 맥락을 심화시킨 작품이었다면, 6집은 실험적 사운드로 무장하여 조동진과 장필순이 더이상 포크나 발라드에 안주하지 않고 오히려 그로부터 탈주한 ...
    Date2013.09.15 By헤워 Views11919
    Read More
  18. [EERIE의 악마의 로큰롤] 서쪽은 어디인가 - Pet Shop Boys의 <Go West>

    서쪽은 어디인가 -Pet Shop Boys의 <Go West> 올해 <라이프 오브 파이>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거머쥔 대만 출신 리안 감독에 대한 중국 본토의 감정에 대해 중국인 친구에게 물어본 적이 있다. “싫어하는 사람들이 꽤 있지. 정부도 그렇고 대부분의 중국인들도...
    Date2013.09.15 By내이름은김창식 Views4386
    Read More
  19. [까만 자전거] 아침 이슬은 왜 금지곡이 되었나?

    아침 이슬은 왜 금지곡이 되었나? 까만자전거 1971년 서울 대학교 미술 대학 회화과에 재학 중이던 대학생 <김민기>는 한장의 포크 음반을 발표하고 가수로 데뷔하였다. 데뷔 당시 김민기는 자신의 음반 한장이 우리 사회에 몰고 올 엄청난 파장을 짐작이나 ...
    Date2013.09.15 By내이름은김창식 Views5137
    Read More
  20. [한 귀에 반한] 2화: 패닉, <추방>

    [한 귀에 반한]?2화: 패닉, <추방> 이 노래는 하일권 작가의 <3단합체 김창남>을 보면서 생각이 난 노래입니다. 물론 '호구'에게 내려진 '거절'은 결코 '친절'하지 않았지요. 하지만 누구에게나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거절'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믿었...
    Date2013.10.13 By두괴즐 Views367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 7 Next
/ 7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