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1990년대 언더그라운드, 즉 인디와 클럽 문화?



e0005666_51dbb0e5a9914.jpg


1994년부터 1995년 경의 클럽 문화 초창기에는 너바나(Nirvana)의 영향력 아래 대다수 클럽 밴드들이 얼터너티브 락과 그런지 계열의 음악을 많이 구사했다. 옐로우 키친(Yellow Kitchen), 코코어(Cocore), 허클베리 핀, 위퍼(Weeper), 등이 그 대표적인 예다. 뒤를 이어서 클럽 드럭을 중심으로 크라잉 너트(Cryng Nut)와 노 브레인(NoBrain) 등이 보다 깊이 락 스피리트를 이어 나왔다. 그러나 드럭의 변칙적 열기는 기존 방송가 틈바구니 속에서 언더그라운드의 이질적 이상으로 토로되고 있어 아쉽다.?

한국 인디 음악의 원년은 1997년 10월로 기록되고 있다. 국내에서 본격적인 독립 레이블을 지향한 '인디(Indie) 레이블'이 클럽 노노에서 갖은 ‘시연회’를 출발점으로 클럽 문화와 언더그라운드 뮤지션들의 음악적 갈래가 다채로워지기 시작한다. 또한 인디(Indie) 레이블의 등장은 한동안 시들했던 헤비메탈과 하드락 계열 음악의 부활에 타이트한 긴장감을 초래했으며, 시대적 조류를 반영한 모던락과 테크노, 힙 합 등 장르 스펙트럼 현상에도 포괄적인 역할을 담당해 냈다. 더해서 앤(Ann)과 레이니 선(Rainy Sun) 등 지방의 실력있는 팀들의 서울 입성을 다시금 도모할 수 있는 계기까지 마련했다. 그러나 뮤직 비즈니스 세계의 경박한 풍토가 만연하자, 1998년 초엽을 기해 클럽에서 성장한 적잖은 뮤지션들이 자신들의 음악을 직접 음반으로 발표하기 위한 자생적인 시스템을 강구해나가기 시작했다. 그 결과 인디(Indie)의 이상을 잇는 레이블, 즉 독립 음반사의 다원적인 등장이 이루어지게 되었는데, 강아지문화예술과 라디오, 카바레, 여자화장실, 벅스, 그리고 클럽과 레이블을 병행하는 독립 음반사 등이 10여 개 이상 생겨나기 시작했다. 1998년 초엽부터 약 1년 6개월 사이에 이들 독립 음반사들은 약 60여 종에 가까운 음반들을 발표했고, 나아가 전국 150여 개의 중대형 레코드점과 직거래 계약을 체결하여 '인디' 음반만을 유통하는 직배 시스템까지 갖추게 되었다. 이 당시의 흐름만을 놓고 봤을 때, 당시 홍대 클럽 씬에서 활동하던 그룹들의 앨범 판매고는 나름 괜찮았다.?

'인디 레이블'이 다각화되면서 그전까지 클럽 밴드 또는 클럽 음악으로 통칭되던 용어들이 '인디 밴드', '인디 음악' 등으로 옮겨지기 시작한다. 언론과 방송에서도 그전까지는 라이브 클럽과 언더그라운드라는 말을 많이 쓰다가 점차 '인디'라는 용어로 정의를 내려 지칭하게 되었다. 그리고 점차 판이 갈리고, 프로그램 편성에서의 자극적 소재 활용에만 일관하던 방송매체는 인디라 지칭하던 거의 대부분의 이들을 철저히 짓밟고 내팽겨쳐 버렸다. 토사구팽. 재미있는 것은 '인디 레이블'의 등장으로 인해 클럽에서는 많은 팬을 얻지 못했으나, 음반 발표와 함께 보다 폭넓은 호응을 얻는 경우가 생겨난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볼빨간의 지루박 음반이나 삼청교육대의 하드코어 펑크 같은 음반들이었다. 여기에서 한 가지 더 중요한 점은 인디라는 용어는 시대적 흐름에 의한 지칭, 혹은 호칭에 국한된다는 점이다. 인디라는 의미는 장르나, 음악적인 포용력을 갖는 용어가 아니다. 독립적이고, 독자적인 활동, 그리고 1990년대 말 클럽 문화와 함께 언더그라운드에서 새롭게 생성된 흐름, 즉 사조적 측면에서만 이해해야한다는 점이다.?

사진은 인디 레이블에서 시리즈로 발매되었던 국내 최초의 도넛형 컴필레이션 ‘Indiepia’ 앨범. 가격은 4,500원이었다.?

(본 포스팅에 언급되는 특정인, 특정 상황, 사진의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화요일의 재즈 이야기 - 위플래쉬 file 호솜 2015.06.23 1001
금요일 홍슐랭가이드 - 다시올 치킨 file 홍홍 2015.06.22 979
목요일 : 조용찬 주관 날아라 슈퍼보드 - 환상서유기 file 홍홍 2015.06.22 960
수요일 : 만화를 보는 소년(만보소) - 사이버포뮬러 file 홍홍 2015.06.21 1062
월요일은 편집장입니다 - 예비군 특집 file 홍홍 2015.06.21 1123
금요일 홍슐랭가이드 - shake shake shake file 홍홍 2015.06.17 583
목요일 : 고전게임 다시보기 - 캐딜락 & 다이너소어 file JYC 2015.06.12 1779
수요일 만화를 보는 소년 - 꾸러기 수비대 file 호솜 2015.06.10 1841
월요일은 편집장입니다 - 여름에 대한 책임감으로 선정한 다섯 팀(2) file 호솜 2015.06.08 742
금요일 홍슐랭가이드 - 피자리움 file 홍홍 2015.06.06 1240
목요일 조용찬 주관 : 고전게임 다시보기 - 포가튼사가 file JYC 2015.06.05 1747
수요일 - 만화를 보는 소년 (만보소) : 요리왕 비룡 file 홍홍 2015.06.03 2103
월요일은 편집장입니다 - 여름투어를 준비중인 다섯 팀(1) file 호솜 2015.06.02 738
토요일 : 감탄고토(甘呑苦吐) - 달면 삼키고 원래 토해진 비문학 이야기 file JYC 2015.05.30 973
편슐랭 - 하얀 굴 짬뽕이 인상적인 을지로 "안동장" file 호솜 2015.05.30 922
목요일 홍혜원 주관 : 고전게임? 크레이지 아케이드 비앤비 file 홍홍 2015.05.28 1276
수요일 : 만화를 보는 소년 (만보소) - 태양의 기사 피코 file JYC 2015.05.26 1419
월요일은 박판석입니다 - 나의 팝 음악 답사기, 20세기 힙합은 Eminem 아닙니까? file 호솜 2015.05.26 516
금요일 홍슐랭가이드 - 짬뽕전문점 짬뽕타임 file 홍홍 2015.05.22 1288
목요일 조용찬주관 : 고전게임 리뷰 - 삼국지 5- file 홍홍 2015.05.22 113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 7 Next
/ 7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