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11.jpg

- 소위 팝이나 해외 음악과 인연이 없습니다. 가사를 중요시하는 편인데, 가사를 알아들을 수 없기에 저절로 멀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팝은 일을 할 때, 주위의 소음을 차단하는 용도 혹은 Robin Thicke의 ‘Blurred Lines' 뮤직비디오를 100번쯤 돌려보는 정도의 관심만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학창시절 내내 저의 고막을 즐겁게 해주었던 아티스트가 있습니다. 바로 ’Rap God‘ 에미넴입니다.

- Without Me
그를 처음 알게 된 노래입니다. 당시 2002년에 출시된 세 번째 정규앨범에 수록된 곡입니다. ‘The Eminem Show'는 전 세계적으로 2000만장을 팔아치우고 그래미상까지 수상했습니다. 사실 흑인음악이라고 불리는 장르에 등장한 백인 랩퍼라는 것에 호감을 가졌습니다. 이 노래는 온갖 비하와 불평 불만으로 가득 찬 가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잘 모르고 흥얼대며 듣고 다니다가 영어를 잘했던 친구가 Slim Shady라는 자아를 가지고 자기 친엄마, 정치인, 다른 가수들을 비하하고 비판하는 내용이라는 말을 듣고 가사를 파면서 영어 공부했던 기억이 납니다. 당시만 해도 인터넷 세계는 영어를 못하는 학생에게는 제한 되어있었습니다. 이런 정보에 목이 말라서 심야 라디오를 기웃거리며, 결국 신해철의 고스트네이션까지 흘러들어갔습니다.

- 영화 '8 Mile'
같은 해(2002년) 에미넴이 출연한 역사적인 영화 ‘8 Mile'이 개봉했습니다. 이 노래 ’Lose Yourself’ 그 영화의 주제곡으로 쓰였습니다. 비장미와 피아노 선율이 어우러진 당시에 들어보지 못한 충격적인 곡이었습니다. 19세로 개봉한 영화라서 당시에 극장에서 보지는 못하고, 같은 해에 쿨하고 관대했던 비디오대여점 누나의 협조를 얻어서 구해서 친구들과 함께 보았습니다. 영화를 보고 난 뒤 매점에서 빵을 고를 때도 one shot or one opportunity 거리고 다녔습니다. 영화에 나오는 클럽씬을 보며, 한국적 랩 배틀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열심히 토론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 앨범 'Recovery'

그 이후로 에미넴은 개인적인 사정으로 2005년에 활동을 중단한 후에 2008년에 복귀하였습니다. 그리고 2010년에 Love The Way You Lie(Feat. Rihanna)가 실린 ‘Recovery'로 다시 제 2의 전성기를 열었습니다. 당시에 카페, 길거리, 라디오, 티비에서 한번쯤은 들어본 노래로 한국에서 폭발전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특히 이 앨범에는 ‘Not Afraid'나 ’Cinderella Man', 'Almost Famous' 같이 'Lose Yourself'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명곡들이 많이 수록되어있습니다. 이런 인기에 힘입어 H모카드가 2012년에 에미넴의 내한공연을 성사시킵니다. 2012년 8월 그때 저는 갓 일병으로 열심히 강원도 모처에서 피눈물을 흘리며 땅을 파고 있었습니다. 얼마 전 한국을 찾은 폴 매카트니의 나이에 다시 온다고 해도 갈 생각이 있으니 다시 오기를 간곡히 바랄뿐입니다.


112.png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HStereo의 음악칼럼]ULTRA KOREA 2013(울트라코리아) 특집 (2) 세계 DJ랭킹 1위, 아민 반 뷰렌(ARMIN VAN BUUREN) 111 file DJ 2013.04.11 213802
[악마의 로큰롤] 외면하고 싶은 지옥의 교차로 - Sonic Youth의 <Death Valley> 53 file 호솜 2013.02.28 41658
[악마의 로큰롤] 악한 가브리엘과 의로운 루시퍼가 보여주는 선악의 아이러니 -Sufjan Stevens의 <John Wayne Gacy Jr.>와 Marilyn Manson의 <Get your Gunn> 51 file 내이름은김창식 2013.04.11 24484
[HStereo의 음악칼럼] 유투브 스타 카브리엘 애플린의 첫 정규앨범, english rain 67 file 호솜 2013.06.10 23899
[까만자전거] 무디 블루스! 프로그레시브 록의 신세계를 열다. 14 file 2013.06.06 19497
[까만자전거] 록 음악의 흐름을 바꾼 비틀즈의 음반 한장 7 file 2013.07.11 19056
[overover난후] 마음이 쓸쓸할 때, 쓸쓸해지고 싶을 때 롤러코스터,김동률 83 file 호솜 2013.03.14 16733
[한 귀에 반한] 1화: Daft Punk - Get Lucky (Feat. Pharrell Williams) 59 file 두괴즐 2013.09.13 16614
[대중문화의 들] 장필순 7집, 장필순 드림팀이 만드는 압도적인 감동 53 file 헤워 2013.09.15 11916
[까만자전거] Madonna - Like A Virgin 22 file 2013.04.15 8066
[까만자전거] 헤비메탈, 그 악마적 유혹의 시작 Black Sabbath 4 file 2013.05.11 6777
한국 건반 음악의 계보, 신해철부터 윤하, 메이트까지 file GT 2013.06.09 6534
[까만자전거] 비틀즈의 부활로 의심받았던 캐나다의 클라투 7 file 2013.08.06 6248
[악마의 로큰롤] 서부 마녀와 동부 마녀의 상이한 예술 개론 - 코트니 러브와 라나 델 레이 file 내이름은김창식 2013.05.15 6129
[eerie - 악마의 로큰롤] 서태지의 시간은 거꾸로간다 file 내이름은김창식 2013.06.13 5701
[눈시칼럼] 명성황후 vs 민비 호칭편 file 호솜 2013.11.15 5397
[한 귀에 반한] 3화: 장미여관, <하도 오래 되면> file 두괴즐 2013.11.13 5287
[대중문화의 들] 조용필 최고의 명반, 7집 '여행을 떠나요, 미지의 세계'에 관하여 file GT 2013.11.15 5163
[까만 자전거] 아침 이슬은 왜 금지곡이 되었나? file 내이름은김창식 2013.09.15 5136
[까만자전거] 코머스(Comus)의 기괴한 역작 음반, <First Utterance> file 내이름은김창식 2013.11.13 51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 7 Next
/ 7

로그인 정보

close